인문학 그리고 행복

고대) 중국 철학자 '장자'

행복여행중 2025. 3. 13. 09:27

 

장자(莊子)는 중국 전국 시대 송나라 출신의 유명한 철학자로,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본명은 **주(周)**이며, 노자(老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철학자입니다. 후세에는 **노장(老莊)**이라고 불리며, 도교에서는 그를 남화진인(南華眞人) 또는 **남화노선(南華老仙)**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의 저서인 《장자》는 **남화진경(南華眞經)**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집니다. 또한 《삼국지연의》에서는 황건적의 지도자인 장각에게 도를 전수하는 선인으로 등장합니다.

장자의 철학만물 일원론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는 한 번 꿈에서 자신이 나비가 되어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꿈을 꾸고, 그 꿈에서 깬 후 자신이 나비인지, 아니면 나비가 꿈을 꾸고 자신이 된 것인지 구별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상식적인 사고 방식을 의심하며, 유학자들의 도덕적 가르침은 하찮은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장자는 자연으로 돌아가고, 무로 돌아가는 것을 주장하며, 인간이 만들어낸 규범이나 질서에 얽매이지 말고 자연의 순리에 따를 것을 강조했습니다.

요약: 장자는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고를 통해 인간의 제한된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간의 도덕적 규범보다는 자연과 무를 따르는 삶을 주장한 철학자입니다.

장자의 인생론에대하여 

장자의 인생론은 자기 육체와 정신을 버리고 '허정'(虛靜)과 '염담'(恬淡)이라는 평화롭고 차분한 마음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이상적인 삶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삶은 자연의 법칙에 따르며 어떠한 외부 영향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자유와 독립을 얻는 상태입니다. 이를 실현한 사람을 **'진인'**이라고 하며, 그는 세속적인 욕망이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초연하게 살아갑니다.

장자의 지식론은 세계가 **불가지의 실재인 '도'**로 이루어져 있다는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며, 개념적 인식과 가치판단은 의미 없고, 만이 올바르다고 봅니다. 이 지식론은 명가의 궤변이나 전변의 제물설을 비판하며 발전하였고, 세계의 존재와 운동은 '도'에 의해 지탱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장자는 우주 생성의 전설을 수용하며, 태초의 '혼돈'이 '도'로부터 유출되어 세계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하고, 음양 오행설을 채택하여 물질의 생사를 **기(氣)**의 집산으로 설명하는 자연론을 전개했습니다.

요약: 장자의 인생론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추구하며, 세계와 삶의 본질을 '도'로 설명하는 철학입니다. 그는 인간의 개념적 인식과 가치판단을 무의미하다고 보고, 자연과 우주의 원리를 에 근거한 자연론으로 설명합니다.

장자의 노장사상 

 

노자장자는 모두 도가 사상의 중요한 인물이지만, 그들의 철학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노자정치와 사회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는 혼란스러운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무위자연(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법칙에 따르는 삶)을 가르쳤습니다. 즉, 노자는 사회와 공동체의 조화를 중요시하며, 지도자나 정부무위의 방식으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반면 장자개인의 삶과 자유에 더 집중했습니다. 그는 속세의 번거로움과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추구했습니다. 장자는 자연 속에서 자신만의 길을 가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개인의 안심입명(마음의 평화를 찾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요약: 노자는 사회적 조화정치적 안정을 강조한 반면, 장자는 개인의 자유자연스럽게 살아가는 것을 중시했습니다.

 

장자는 단순히 이론적인 철학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그의 사상은 실존적인 질문심오한 비유를 통해 더욱 강조됩니다.

  1. 비유적이고 우화적인 글쓰기: 장자는 자신의 철학을 비유와 우화를 통해 전달했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장자》에는 인간 존재와 자연, 삶과 죽음에 관한 심오한 생각들이 동물, 식물, 신화적 존재를 통해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나비 꿈 이야기는 그의 상식적인 사고에 대한 의문을 표현한 유명한 예입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장자는 인간의 인식이 상대적이고 불확실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현실과 꿈의 경계가 모호함을 보여줍니다.
  2. 무위(無為)와 자연: 장자는 무위자연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는 자연의 흐름을 따르고, 자기 자신을 억제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살아가는 것이 이상적인 삶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노자와 비슷하지만, 장자는 더욱 자유로운 태도를 강조하며, 속세를 초탈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3. 상대주의와 비판적 사고: 장자는 상대주의적인 사고를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세상의 모든 것에 절대적인 진리가 존재한다고 보기보다는, 모든 것이 상대적이고 변화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이로 인해 장자는 고정된 기준을 제시하기보다는, 자유롭고 열린 사고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유학자들의 도덕적 가르침을 비판하며, 규범과 가치판단이 항상 상대적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4. 인생과 죽음에 대한 사유: 장자는 죽음을 자연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생사자연의 순환으로 보고, 죽음도 생명의 일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에 따라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자연의 순리에 따라 편안하고 초연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5. 유쾌하고 풍자적인 성격: 장자의 철학은 매우 심오하면서도 유머와 풍자를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는 세상의 위선이나 인간의 모순된 모습을 비판하기 위해 때로는 풍자적이고 엉뚱한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철학적 깊이를 전달하면서도 웃음을 유발하고, 고정된 사고방식을 깨뜨리려 했습니다.

요약: 장자는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삶을 강조하며, 상대주의적 사고자유로운 사고를 통해 인간의 고정된 규범이나 사회적 틀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삶죽음에 대한 수용을 중요한 가치로 삼으며, 고정된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의 자유를 강조합니다.

'인문학 그리고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철학에 대하여  (0) 2025.03.13
고대) 중국 철학자 '맹자'  (0) 2025.03.13
고대) 중국 철학자 '노자'  (0) 2025.03.13
고대) 중국 철학자 '공자'  (0) 2025.03.12
현대 철학에 대하여  (1) 2025.03.12